♣ 소화장애 증후군( 胃痰)
원인: 과식 ,폭식, 자극적인 음식 섭취 ,정신적인 긴장, 위산분비과다 등의 여러가지 원인에 의
해 위점막이 자극을 받아 위장기능의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胃氣의 沮滯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胃가 冷하여 氣가 凝滯되거나 ,
滯氣가 오래되어 胃熱이 발생하여 胃痰이 만들어지는 만성화 된 형태와
만성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肝氣鬱滯가 발생하여 오랫동안 반복되면 脾胃에 濕痰이 형성되면
서 痰의 停滯로 인하여 만성적인 위장관 증상을 나타낸다
♣ 임상적 소견
⓵급성위염 급성적으로 나타나면서 상복부동통 흉복부가 더부룩하고 오심 구토 등이 있고 때로는
발열 설사를 동반하기도한다
⓶만성위염: 완만한 발병과 통증이 심하지 않고 팽감감 더부룩한 느낌 때로는 속이 쓰리거나 작열
감을 느낄 수도 있고 ,찬 음식을 먹으면 더 심해지고 식욕이 감퇴되는 경향이 있다.
⓷위궤양: 상복부에 규칙적인 통증과 식후 1∽2시간내에 통증이 나타나며, 십이지장궤양은 식후 2
∽4시간 정도에 속쓰림이 나타난다.
⓸신경성 위장염: 상복부동통 식욕감소 오심 ,트림 ,구토 ,인후부폐색감, 두통, 어지러움 불면 만
성피로감 등의 증상이 수반된다.
♣ 한의학적 원인
⓵脾胃虛寒: 배가 잘 아프고 ,따뜻하게 하거나 주물러 주면 좋아하고 생냉한 음식 섭취하면 아프
고 소화가 않 되며, 대변은 묽고, 손발 아랫배가 찬 경향이 있다.
⓶胃熱氣鬱: 동통 이 더 심하고, 심하부가 열감 있고, 갈증이 나고 대변은 약간 된편.
⓷肝氣鬱滯: 심하부가 여기저기에 움직이면서 아프고 때로는 배에 가스가 차고 트림이나 방귀가
잘 나오고 ,신물이 올라오기도 하며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더욱 심해지고 두통 어지러음 등의
증상이 수반 되기도 한다.
⓸食積沮滯 : 심하부가 답답하고 트림도 잘 나오지 않으며, 먹은 음식을 토하고 설사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⓸痰飮沮滯 : 위가 아프고 속이 미식 미식하고 어지러움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이 수반된다.
♣담적증후군: 만성적인 소화불량증이 반복되면서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나 노폐물이 오래동안 위
장관에 머물러서 답즘이 울체되어 위장관 내벽에 싸여서 발생하는 것으로
역류성식도염 장명 설사 소화불량 신경성위염 근막경직으로 인한 근육통(요통 견배동통 두통 어지
러움 만성피로 고혈압 불면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
급성기 : 消導 消積시키는 小積健脾丸 平胃散 平陳健脾湯 등을 응용하고 침 뜸 사혈 하는
방법으로 잘 낫는다.
중간단계 : 鬱滯되면 胃에 熱이 발생하고 위점막의 손상이 시작되는 시기로 이때는 開鬱化痰湯
등으로 위점막 염증을 없애고 조직의 활성화 시켜주어야 합니다.
만성화단계 :소화기염증이 오래되거나 식생활의 불균형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
혹은 만성적인 腸機能不全으로 인한 설사는 健脾化胃하는 蔘笭白朮散을 응용하고, 과민성 반응에
의한 설사의 경우, 膽汁鬱滯형의 소화기능부전 형태로 지속되는 경우는 疎肝理氣 淸熱解毒하는
藿香正氣散등을 응용하여 치료하고, 침 뜸등과 온열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하면 좋다.